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정보

일했는데 급여를 못 받았다면?

by Josep 2025. 3. 18.
반응형

📌 [사례]

박씨는 한 카페에서 한 달 동안 아르바이트를 했어요. 약속된 월급일이 지났지만 **사장이 계속 지급을 미루며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했어요. 결국 한 달이 지나도록 급여를 받지 못한 상황. 박씨는 법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


1️⃣ 급여 지급 기준 확인

✅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정해진 날짜에 급여를 지급해야 하며, 정당한 이유 없이 미지급 시 법적 처벌 대상
✅ 프리랜서·아르바이트도 근로자로 인정될 경우, 임금 체불 문제로 법적 대응 가능
✅ 사업주가 지급을 미루거나 거부하면, 고용노동부에 임금 체불 신고 가능


2️⃣ 급여 미지급 시 즉시 해야 할 일

✅ 근무 기록 및 급여 지급 약속된 내역(근로계약서, 메시지, 통장 내역 등) 확보
✅ 사업주에게 공식적으로 급여 지급 요청(문자·이메일 등 기록 남기기)
✅ 지급 기한을 명확하게 설정하여 재차 요구


3️⃣ 사업주가 계속 지급을 미룰 경우 법적 대응 방법

고용노동부 임금체불 신고(https://www.moel.go.kr) 또는 관할 노동청 방문 신고 가능
✅ 미지급 금액이 300만 원 이하일 경우, 소액심판 청구(법원)를 통해 지급 명령 가능
✅ 사업주가 끝까지 지급하지 않으면, 형사 고소(근로기준법 위반) 진행 가능

반응형

4️⃣ 프리랜서 급여 미지급 시 대응 방법

✅ 계약서가 있다면, 계약서에 따라 정당한 지급 요청 가능
✅ 계약이 없더라도 업무 수행 증빙(이메일, 작업 기록 등)이 있다면 민사 소송 가능
✅ 부당한 지급 거부 시, 대한법률구조공단(https://www.klac.or.kr)에서 법적 지원 상담 가능


5️⃣ 급여 체불 예방을 위한 근로 계약 주의점

✅ 근로계약서 작성 필수(급여 지급일, 시간, 수당 명확히 기재)
✅ 프리랜서는 계약서 및 작업 증빙 자료 확보
✅ 급여 지급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는 사업장이라면, 선급 지급 또는 부분 지급 요구


📝 [한 줄 정리]

급여를 받지 못했다면 근무 기록 확보 → 사업주에게 공식 지급 요청 → 노동청 신고 또는 소송 진행 → 법적 대응 가능 등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어요.

#임금체불 #급여미지급 #근로기준법 #노동청신고 #프리랜서보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