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정보

미성년자가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냈다면, 책임은 어떻게 될까?

by Josep 2025. 3. 23.
반응형

📌 [사례]

초등학생 준호는 길을 건너다 좌회전하던 차량과 충돌해 다리 골절을 입었어요. 가해 운전자는 **“보행자가 갑자기 튀어나왔다”**며 과실이 있다고 주장했고, 보험사는 치료비의 일부만 보상하겠다고 했어요. 준호의 부모는 억울함을 느끼고 법적 대응을 고민 중이에요.


1️⃣ 미성년자 교통사고 시 과실 책임 기준

✅ 「민법 제753조(책임능력)」에 따라, 만 14세 미만 미성년자는 원칙적으로 ‘불법행위 능력 없음’
✅ 사고 책임은 운전자 또는 보호자가 주로 지게 되며, 과실 비율 책정 시 연령, 상황, 지도 여부 등이 고려됨
✅ 어린이 보호구역 및 횡단보도 사고의 경우, 운전자 과실이 대부분


2️⃣ 보행 중 사고 발생 시 보호자 대응 절차

✅ 사고 현장 사진, 목격자 진술, CCTV 확보
✅ 병원 진단서, 치료비 내역 등 피해 자료 수집
✅ 보험사와 합의 전, 과실 비율과 보상 조건 꼼꼼히 확인


3️⃣ 보험사가 과실 비율을 과도하게 산정할 경우 대처법

금융감독원 민원센터(https://minwon.fss.or.kr) 또는 자동차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 신청
✅ 필요시 손해배상 청구 소송 가능(사고 책임이 명확할 경우)
✅ 보험 합의 시 향후 치료비, 후유장해까지 고려한 조건 제시

반응형

4️⃣ 미성년자가 차량을 운전해 사고를 냈을 경우

✅ 무면허 운전은 형사처벌 대상이며, 미성년자일 경우 보호자에게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이 돌아갈 수 있음
✅ 자동차 소유주가 부모인 경우, 부주의한 차량 관리로 책임 인정 가능


5️⃣ 예방을 위한 조치

✅ 어린이의 보행 교육 및 횡단 시 보호자 동행 지도
✅ 자전거나 킥보드 운행 시 교통안전 교육 필수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 시 운전자의 엄격한 책임이 적용되므로, 사고 발생 시 강력히 대응 가능


📝 [한 줄 정리]

미성년자가 교통사고 피해자일 경우, 과실 책임은 제한되며 보호자는 증거 확보 → 보험사 과실 비율 검토 → 필요 시 분쟁조정 및 법적 대응을 통해 보상받을 수 있어요.

#미성년자교통사고 #과실책임 #자동차사고보상 #어린이보호구역 #손해배상청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