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7

미성년자에게 다단계 권유? 불법이에요! 📌 [사례]고등학생 민서는 SNS를 통해 알게 된 지인으로부터 **“앱에 투자하면 매달 수익이 나온다”**는 말을 듣고, 20만 원을 송금하고 앱에 가입했어요. 이후 민서는 다른 친구에게도 같은 앱 가입을 권유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해당 앱이 폐쇄되고 연락이 끊겼어요. 민서 부모는 뒤늦게 사실을 알고 사기 피해를 주장했지만, 업체는 미성년자임을 알지 못했다고 주장했어요. 이 경우 법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1️⃣ 미성년자 다단계 참여는 원칙적으로 불법✅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다단계판매원은 19세 미만 가입 불가✅ 미성년자가 법정대리인 동의 없이 계약한 경우, 민법 제5조에 따라 계약 취소 가능✅ 고의로 미성년자임을 속이지 않았다면, 책임은 미성년자에게 전가될 수 없음2️⃣.. 2025. 3. 27.
미성년자 유튜버, 수익 정산은 어떻게? 보호는 누가? 📌 [사례]초등학생 하람이는 부모의 도움을 받아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이에요. 최근 구독자가 늘며 광고 수익이 생기기 시작했는데, 채널에 연결된 애드센스 계정이 부모 명의였고, 수익 분배나 정산 기준에 대해 하람이는 정확히 알지 못했어요. 또한 외부 광고 제안도 받았지만, 계약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 고민이 컸어요. 미성년자가 유튜브 수익을 올리는 경우, 법적 보호는 어떻게 이뤄질 수 있을까요?1️⃣ 미성년자의 수익 창출은 보호자 동의 하에 가능✅ 「민법」에 따라, 미성년자는 법정대리인의 동의 없이는 유효한 계약 체결 불가✅ 유튜브의 수익 프로그램(애드센스)은 18세 이상만 직접 가입 가능 → 보호자 명의로 운영✅ 수익이 미성년자에게 귀속되려면, 보호자가 대리 계약 체결자임을 명시해야 함2️⃣ 광고 수.. 2025. 3. 25.
미성년자 SNS 활동 중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면? 📌 [사례]중학생 수진이는 SNS에 올린 게시글에 본인의 학교, 이름, 얼굴 사진을 함께 올렸어요. 그런데 며칠 뒤, 모르는 사람이 수진이의 개인정보를 퍼가 다른 커뮤니티에 유포했고, 이후 수진이는 악성 DM과 장난전화에 시달렸어요. 부모님은 SNS 플랫폼에 신고했지만, **“계정 주인이 본인 정보 공개한 것이라 삭제만 가능하다”**는 답변만 받았어요. 이런 경우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1️⃣ 개인정보 유출 시 법적 보호 근거✅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제18조에 따라 동의 없는 수집·이용·제공은 불법✅ 미성년자의 경우, 보호자의 동의 없이 수집된 정보는 무효이며 삭제·정정 청구 가능✅ 개인정보 유포로 인해 정신적 피해가 발생했다면, 손해배상 청구 가능2️⃣ 피해 발생 시 즉시 해야 할 .. 2025. 3. 24.
미성년자가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냈다면, 책임은 어떻게 될까? 📌 [사례]초등학생 준호는 길을 건너다 좌회전하던 차량과 충돌해 다리 골절을 입었어요. 가해 운전자는 **“보행자가 갑자기 튀어나왔다”**며 과실이 있다고 주장했고, 보험사는 치료비의 일부만 보상하겠다고 했어요. 준호의 부모는 억울함을 느끼고 법적 대응을 고민 중이에요.1️⃣ 미성년자 교통사고 시 과실 책임 기준✅ 「민법 제753조(책임능력)」에 따라, 만 14세 미만 미성년자는 원칙적으로 ‘불법행위 능력 없음’✅ 사고 책임은 운전자 또는 보호자가 주로 지게 되며, 과실 비율 책정 시 연령, 상황, 지도 여부 등이 고려됨✅ 어린이 보호구역 및 횡단보도 사고의 경우, 운전자 과실이 대부분2️⃣ 보행 중 사고 발생 시 보호자 대응 절차✅ 사고 현장 사진, 목격자 진술, CCTV 확보✅ 병원 진단서, 치료비.. 2025. 3. 23.
미성년자 명의로 휴대폰을 개통했는데 위약금이 발생했다면? 📌 [사례]고등학생 하늘이는 부모 동의 없이 자신의 명의로 휴대폰을 개통하고, 고가 요금제를 2년 약정으로 가입했어요. 몇 달 뒤 요금이 감당이 안 되어 해지를 요청했는데, 통신사는 위약금 25만 원을 청구했어요. 하늘이 부모는 **“미성년자의 계약 자체가 무효”**라며 항의했지만, 통신사는 **정상적인 계약이었다”**고 주장했어요. 이 경우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1️⃣ 미성년자의 단독 계약은 취소 가능✅ 「민법 제5조」에 따르면, 미성년자가 법정대리인 동의 없이 체결한 계약은 취소 가능✅ 통신사는 계약 당시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제대로 확인했는지 증명할 책임이 있음✅ 계약을 취소하면, 위약금 및 할부금 납부 의무도 원칙적으로 소멸2️⃣ 계약 취소 및 위약금 면제 요청 절차✅ 통신사에 계약 당사자가.. 2025. 3. 23.
미성년자 명의 도용 결제 피해, 어떻게 대응할까? 📌 [사례]중학생 지후는 어느 날 부모님과 함께 통신 요금 청구서를 확인하다가, 본인 명의로 게임 내 결제 40만 원이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됐어요. 알고 보니 형이 지후의 이름과 주민번호로 게임 계정을 만들고 결제한 것이었어요. 부모님은 통신사에 항의했지만, “본인 인증이 완료된 결제”라며 환불이 어렵다는 답변만 받았어요. 이런 경우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1️⃣ 미성년자 명의 도용은 불법, 계약은 무효✅ 「민법 제5조」에 따라 미성년자의 법정대리인 동의 없는 계약은 취소 가능✅ 타인이 미성년자의 명의로 무단 결제를 했다면, 해당 계약은 무효 또는 취소 대상✅ 가족이 도용한 경우에도 소비자 피해로 인정받을 수 있음2️⃣ 명의 도용 결제 발생 시 바로 해야 할 일✅ 결제 내역 확보 및 결제에 사.. 2025. 3. 23.
반응형